📘 배운 점- 1. Layerd Architecture에 대해 왜 레이어를 4계층으로 구분하여, 관심사 ( SoC)를 분리하여야 하는지. 해당 아키텍쳐를 사용 하였을 때 도메인을 변경하면 모든 레이어에 관련 내용을 변경해야 하고, DDD ( 도메인 주도 설계 )에 어떤식으로 위배 되는 지에 대해 학습 할 수 있었다. 또한, 해당 아키텍처의 싱크홀 안티패턴에 대해서도 학습할 수 있었다. 2. 결합도, 응집도 SoC를 잘 지키기 위해선, 결합도와 응집도에 대한 개념에 대해 다시 한 번 학습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코드를 어떤식으로 설계하고 유지보수 해야하는지 알게 되었다. 😅 어려웠던 점. 사실 상 Respository 와 Domain Model 에 대해 잘 이해하진 못했던 것 같다. JPA에서 Reposito..
📘 배운 점- https://kyeonghoons-organization.gitbook.io/untitled/week-3 😅 어려웠던 점. DTO가 안티패턴인 이유 느낌점 시간이 없어 이번 주 차에는 정리를 잘 하지 못하였다.. ㅜ 과제는 완성했지만 깃 북을 한 번에 다 쓸려고 하니 예외적으로 해야할 일들 때문에 미루고 미뤄 결국 정리를 끝내지 못했다. 다음 주 차 부턴 더 열심히 해볼려고 한다.
📘 배운 점- https://app.gitbook.com/o/taSHeKNauuWjMHNBR1b2/s/81EQp5agFGCXrLLcZPJX/week-2 😅 어려웠던 점. 캡슐화와 정보은닉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 명확히 구분 할 수 있었다. 느낌점 이제 2 주차가 되었다. 회고록을 작성할 때면 어떤 내용을 채워 넣을지 고민이 된다. 깃 북을 통해 열심히 배운 점을 정리하고는 있지만, 회고록에 어떤 내용들을 넣을지 템플릿을 좀 고민해봐야겠다.
좋았던 점. - HTTP와 OSI 7계층에 대해 깊게 파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. - 편하게 Spring에서 제공하는 TCP Server를 사용하였으나, 직접 Socket Server를 구현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. - 공부하였던 것. https://app.gitbook.com/o/taSHeKNauuWjMHNBR1b2/s/81EQp5agFGCXrLLcZPJX/week-1/1-http GitBook app.gitbook.com package kr.megaptera.assignment; import com.google.gson.Gson; import com.google.gson.JsonElement; import com.google.gson.JsonObject; import com.google.gson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