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📘 배운 점-
1. Layerd Architecture에 대해 왜 레이어를 4계층으로 구분하여, 관심사 ( SoC)를 분리하여야 하는지.
해당 아키텍쳐를 사용 하였을 때 도메인을 변경하면 모든 레이어에 관련 내용을 변경해야 하고, DDD ( 도메인 주도 설계 )에 어떤식으로 위배 되는 지에 대해 학습 할 수 있었다.
또한, 해당 아키텍처의 싱크홀 안티패턴에 대해서도 학습할 수 있었다.
2. 결합도, 응집도
SoC를 잘 지키기 위해선, 결합도와 응집도에 대한 개념에 대해 다시 한 번 학습하는 계기가 되었으며
코드를 어떤식으로 설계하고 유지보수 해야하는지 알게 되었다.
😅 어려웠던 점.
- 사실 상 Respository 와 Domain Model 에 대해 잘 이해하진 못했던 것 같다. JPA에서 Repository Interface와
혼동하여 생각했던 것 같으며, Controller - Service - Repository로만 무언가를 그릴려 하였던 점이었다.
또한, CQRS에 대한 개념적 지식이 조금 부족했던 것 같다.
느낌점
이번 주에는 사실 상 어려웠던 점에 적은 내용에 대해 조금 더 조사해보고 학습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.
아직까지, Controller - Service - Repository로만 생각하고 있으며 특히 Repository에선 대체 무슨 역할을 하는지 DAO와 DTO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 느낌이 아니었다
반응형
'BackEnd > 메가테라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메가테라 BE 생존코스] 3주차 회고 (0) | 2024.04.07 |
---|---|
[메가테라 BE 생존코스] 2주차 회고 (0) | 2024.03.31 |
[메가테라 BE 생존코스] 1주차 회고 (1) | 2024.03.22 |